미동정 버섯 205

미 동정 버섯 20230728 - 09

학명 :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관찰 일시 : 2023년 7월 28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산직동 자생 환경 : 2023년 4월 2일 크게 산불이 났던곳 관찰 사항 : 서향의 산 능선 가까운 곳의 맨 땅에 4 송이가 일열로 나이순으로 나란히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의 특징은 나이별로 나란히 발생하는 모습과, 갓의 중앙부가 볼록하게 유지되는 모습, 그리고 주름살의 색이 일반적인 버섯의 색과는 다르게 보이는 점 인것 같다. 앞의 버섯 미동정 20230728-07 을 살피다가 찾은 버섯인데 이 버섯은 불탄자리와는 연관성이 없는것으로 보였다. 버섯카페에서는 동정을 유보하였다.

미 동정 버섯 230722-02-26-13

관찰 일시 : 2023년 7월 26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만년동 한밭수목원 자생 환경 : 그늘이 많은 수목원의 산책로변 화단 관찰 사항 : 화초가 없고 이끼가 많이 낀 곳에 10여 송이는 되어보이는 버섯들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2023년 7월 22일에 도솔산에서 보았던 버섯과 동일 버섯으로 판단 되는데, 아마도 새로이 출현 한 신종의 버섯이 아닌가 생각 된다. 동종 다른 자료 보러 가기 : 미 동정 버섯 20230722 - 02 (tistory.com)

미 동정 두엄먹물버섯 Coprinopsis -

학명 : Coprinopsis cinerea (Schaeff.) Redhead, vilgalys & Moncalvo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눈물버섯과 두엄먹물버섯속 관찰 일시 : 2023년 7월 20일 ~ 26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둔산동 자생 환경 : 시내 평지에 조성된 녹지 관찰 사항 : 잔디를 잘라 다량 벼려진 그늘이 살짝 지는곳에 여러날을 거쳐 계속 발생이 있었다. 풀은 부패가 되었고, 량도 더미로 쌓여 있으며, 장기간의 장마로 습기와 물기가 충분히 공급된 환경이다. 이 버섯은 유균이 보이면 바로 그날 해가 진 후에 갓을 펼치고 다음날 해가 뜨면서 죽어 녹아버리는 것으로 생각 된다. 필자는 이 버섯의 완전한 모습을 담기 위하여 7차례에 걸쳐 탐사를 하였는데도 바른 모습을 담..

미 동정 광대버섯속 의 버섯 20230725 - 10

학명 : Amanita -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관찰 일시 : 2023년 7월 25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오동 자생 환경 : 금년 4월 2일에 크게 산불이 난 곳의 능선 가까운 북향의 계곡 형태인 곳 관찰 사항 : 아직 타다 남은 잿가루가 있고 낙엽이나 잡초가 없는 흙에 2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불 탄 자리에서 발생을 하기는 하였으나 산불과의 연관관계는 전혀 생각이 되지 않는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도 처음보는 버섯이라는 의견을 주었다.

미 동정 버섯 20230725 - 09

학명 :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관찰 일시 : 2023년 7월 25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오동 자생 환경 : 금년 4월 2일에 크게 산불이 난 곳의 능선 가까운 북향의 계곡 형태인 곳 관찰 사항 : 아직 타다 남은 잿가루가 충분히 있는, 풀이 없는 곳에 곳에 4 송이가 모여 발생하고 있었다. 불 탄 자리에서 발생을 하기는 하였으나 이 버섯이 불 탄 곳에서 만 발생하는지는 알 수 없으나 발생지를 볼적에 충분히 관계를 생각 할 수는 있을것 같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도 못보았던 버섯으로 막질버섯과(가칭) 자갈버섯속 의 버섯이 생각된다는 의견이었다.

미 동정 그물버섯과의 버섯 20230725 - 05

학명 :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관찰 일시 : 2023년 7월 25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오동 자생 환경 : 금년 4월 2일에 크게 산불이 난 곳의 는선 가까운 북동향 계곡 형태 인 곳 관찰 사항 : 그늘이 많은곳에 타나 남은 소나무토막의 지면부 쪽에서 3 송이의 버섯들이 발생하고 있었다. 주름이나 자루에 상처를 주어보았더니 잠시 후에 잉크색으로 변화가 바로 보였다. 버섯카페 에서도 이 버섯은 아직 동정을 하지 못 한 버섯이라고 하였다. 발생 기주로 볼 때, 불 탄 자리와 관계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가칭 대나무파이프버섯 20230725 - 03

학명 : Henningsomyces -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낙엽버섯과 파이프버섯속 관찰 일시 : 2023년 7월 25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둔산동 자생 환경 : 모 기관의 정원에 식재되어 있던 대나무숲 관찰 사항 : 대나무숲 아래에 떨어져 있던 대나무조각을 들추어 보았더니 지면 쪽으로 다수의 버섯들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는 순백파이프버섯 같기는 한데 어디엔가 이상하다는 의견을 주었는데, 필자의 생각으로는 순백파이프버섯은 주로 죽은 소나무에서 발생을 하는데, 기주가 대나무로 다르고, 버섯의 모양도 순백파이프버섯은 굵기가 위 아래 같으며 가늘고 긴 모습인데 반하여 이 버섯은 아래쪽으로 가늘어지고 윗면의 구명부위도 안쪽으로 말려 들어가는 모습을 하고 있어 다는 버..

미 동정 주름버섯속 의 버섯 20230724 - 04

학명 : Agaricus-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주름버섯속 관찰 일시 : 2023년 7월 24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둔산동 정부대전청사 자연마당 자생 환경 : 평지에 조성 된 공원의 참나무숲 아래 낙엽 사이 관찰 사항 : 큰 참나무숲 아래의 낙엽 사이에 1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는데 자루에 상처를 주어 보아도 색의 변화는 없는것으로 보였다. 이 버섯을 필자는 대머리주름버섯을 의심하였으나, 버섯카페에서는 처음 본 버섯 이란 의견을 주었다.

미 동정 버섯 20230724 - 03

관찰 일시 : 2023년 7월 24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둔산동 정부대전청사자연마당 자생 환경 : 참나무숲 아래의 낙엽 사이 관찰 사항 : 낙엽 사이에 오직 1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갓 윗면에 물이 조금 있는 곳은 많이 끈적거렸다. 버섯카페 에서는 동정을 유보하였다. 필자의 관점에서 보면 끈적버섯속의 버섯, 그리고 자갈버섯속의 버섯을 의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