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동정 버섯 205

미 동정 외대버섯속 의 버섯 20230709 - 14

학명 : Entoloma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외대버섯과 외대버섯속 관찰 일시 : 2023년 7월 9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둔산동 시청 정원 자생 환경 : 정원의 작은 정원수 아래 잔디와 이끼가 있는 곳 관찰 사항 : 비교적 빛이 잘 드는 이끼와 약간의 잔디가 함께 발생하는 곳에 2 송이가 속생하고 있었다. 갓의 지름은 약 1 cm 정도로 보였다. 버섯카페 에서는 외대버섯속의 버섯으로 잔디밭외대버섯을 참고만 하라는 조언이었다. 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에서 검색하여 보았는데 분명 검은외대버섯 Entoloma atrum , 검은비늘외대버섯 Entoloma aethiops, 그리고 잔디밭외대버섯 Entoloma carneogriseum 과는 차이가 있는것 같아보였다. 이번에..

미 동정 꽃애기버섯속의 버섯 20230708 - 07

관찰 일시 : 2023년 7월 9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도마동 도솔산 시내에 있는 야산, 북서향의 혼합림의 낙엽 사이에 몇 송이의 버섯들이 발생하고 있었다. 버섯카페에서는 솔밭버섯과 꽃애기버섯속의 버섯으로 속명은 Gymn0pus & Collybiopsis 이라고 하였다. 이 때 즈음 하여 비슷비슷 한 버섯들이 많이 나오고 있어 잘 관찰을 하여야 구분이 되는것 같다.

미 동정 버섯 20230708 - 10

학명 : 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관찰 일시 : 2023년 7월 9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도마동 도솔산 자생 환경 : 시내에 있는 야산, 북향의 잡목림 아래 그늘이 많고 옆에는 물이 마르지 않는 도랑이 있는 곳 관찰 사항 : 그늘이 많은 숲 속에 있던 죽어 부패가 많이 진행 된 활엽수목에 다수의 버섯들이 발생하고 있었다. 필자는 제주털애주름버섯으로 보았는데 황소조아님은 주름살 날의 녹갈색이 없는점을 보아서 제주털애주름버섯이 아닌것으로 동정을 하였다. 제주털애주름버섯 보러 가기 : 제주털애주름버섯(제주맑은대버섯) Hydropus marginellus (tistory.com)

미 동정 버섯 20230708 - 08

관찰 일시 : 2023년 7월 8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도마동 도솔산 시내에 있는 야산, 등산로 입구, 북향의 혼합림 아래에 베어 놓았던 아까시나무로 보이는 나무토막의 껍질부에 다수의 버섯들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 버섯은 갓의 중심부가 색이 짙고 모두 뾰족하게 돌출되어있는 특징이 보인다. 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도 동정을 보류하였다.

미동정 꽃버섯속 의 버섯 (가칭 잔디꽃버섯) 20230707 - 06

관찰 일시 : 2023년 7월 7일 및 11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탄방동 공원 잔디 사이 이 버섯은 몇해동안 공원 잔디사이에서 7월에 관찰이 되는 작은 버섯인데, 버섯카페에서는 꽃버섯속의 버섯으로 보았으나 아직 국명은 없는것 같고, 학명도 찾지 못하고 있다. 필자는 임시명으로 "가칭 잔디꽃버섯" 으로 쓰고 있다. 7월 초순에 발생을 하며, 처음에는 반 투명한 우유빛 흰색이었다가 점차 성숙하면서 크기도 성장하며 색은 옅은 황색이 가미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