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동정 땀버섯속 의 버섯 20230620 - 08 2023년 6월 20일, 대전시 서구 도마동 도솔산에서 보았던 버섯이다. 동향의 잡목림 아래에 있는 약수터의 그늘이 많고 물기가 많은 흙에 3 송이가 속생하고 있었다. 버섯카페 에서는 땀버섯속의 버섯으로 비듬땀버섯 비슷하다는 의견을 주었다. 다른 비듬땀버섯 비슷 한 자료 보러 가기 : 미 동정 땀버섯속의 버섯 20150808 - 01 (tistory.com) : 미 동정 비듬땀버섯 20170817 (tistory.com) 버섯/야생버섯 2023 2023.06.27
미동정 막질버섯과(임시명) 의 버섯 20230620 - 05 2023년 6월 20일, 대전시 서구 도마동 도솔산, 동향의 메타세콰이어나무 아래로 난 도랑에 발생하고 있었다. 처음에는 졸각버섯인가 생각도 되었는데, 버섯카페 에서는 막질버섯과(임시명) 의 버섯으로 보았다. 끝의 사진 2장의 버섯들도 바로 옆에 발생하고 있었는데, 같은 버섯일까 하는 생각도 들어 함께 기록하여 둔다. 버섯/야생버섯 2023 2023.06.27
미동정 포도버섯과 Deconica (임시명 환각버섯속)의 버섯 포도버섯과 Deconica (임시명 환각버섯속)의 버섯 20230620 - 04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환각버섯속 2023년 6월 20일, 대전시 서구 도마동 도솔산, 동향의 메타세콰이어나무 아래로 난 도랑의 낙엽 사이에 있던 메타세콰이어로 보이는 작은 나뭇가지에 1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에서는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Deconica (임시명 환각버섯속)의 버섯 이라는 동정을 하였다. 그런데 Deconica 에는 좀환각버섯, 분색환각버섯, 소똥환각버섯, 등이 있어서 속명을 임시명 환각버섯속 으로 한 것은 이해가 되나, 국명 "환각버섯속"은 막질버섯과(가칭) 청환각버섯(Psilocybe subcaerulipes) 이 속해있는 속명 Psilocybe도 환각.. 버섯/현풍이 만난 버섯 2023.06.27
참나무 무늬종 aks T 150 - 2314 2023년 6월 20일, 시내에 있는 야산에서 보았던 모습이다."참나무 aks T 150-2313" 을 본 곳에서 불과 30여m 정도밖에 떨어지지 않은 가까운 곳에 있었다.이 아이도 금년생 실생 유묘로 보이는데, 앞의 것과 거의 유사하게 무늬가 화려하다.금년 5월 31일에 채집하여 왔던 아직 상수리가 그대로 달려있던 "참나무 aks T 148-2311"가 속절없이 죽어가는 모습을 보면서 이 아이도 명년 봄에 채집하여 오기로 하고 우선 기록으로만 남기려 한다.사진은 2023년 6월 20일, 자생지의 모습이다. 야생화/나의 야생화 2023.06.25
참나무 무늬종 aks T 149 - 2313 2023년 6월 20일, 시내에 있는 야산에서 보았던 모습이다.금년생 실생 유묘로 보이는데, 무늬가 화려하여 좋았다.금년 5월 31일에 채집하여 왔던 아직 상수리가 그대로 달려있던 "참나무 aks T 148-2311"가 속절없이 죽어가는 모습을 보면서 이 아이는 명년 봄에 채집하여 오기로 하고 우선 기록으로만 남기려 한다.사진은 2023년 6월 20일, 자생지의 모습이다. 야생화/나의 야생화 2023.06.25
미동정 제비꽃 무늬종 2023년 6월 13일, 아파트 단지 내의 빈 공지에서 본 모습이다. 잎이 오직 1장만 남아있어 사진 만 담아두고 앞으로의 무늬 변화를 지켜보기로 하였다. 야생화/야생화 2023.06.25
자금우 무늬종 꽃 2017년 6월 11일, 화원에서 구입 한 아이이다. 어느 인터넷에서는 산호초 로도 나오고 있는데, 필자는 종전에 쓰던 이름 그대로 자금우로 쓰고 있다. 확실 한 동정이 필요한 것 같다. 사진은 2023년 6월 11일의 모습이다. 야생화/나의 야생화 2023.06.25
큰원추리 무늬종 aks G 101 개화 2009년 5월 경, 충남 공주시 상왕동 청벽 야산에서 모든 잎에 실백호가 들어있는 유묘에 가까운 아이를 발견하여 오늘까지 함께 하는 아이이다. 잎 무늬는 변화가 적지않은 편이고, 증식이 잘 되지 않아 아직까지 무늬촉 1개만 유지되고 있다. 사진은 2023년 6월 15일의 모습인데, 꽃은 정단에서부터 기부쪽으로 내려가면서 개화하는 점에서 쉽게 원추리와 구분이 된다. 물론 잎의 길이도 원추리에 비하여 많이 길다. 금년에는 채종이 가능할지 모르겠다. 야생화/나의 야생화 2023.06.25
땅비싸리 무늬종 aks G 139 2014년 4월 26일, 세종시 금남면 성강리 야산에서 얻은 아이이다. 발견 당시에는 무늬가 좋지 않았는데, 혹시나 하는 마음에서 2022년 무늬가 좋은 부분을 잘라 삽목을 하여 보았더니, 다행히 번식에 성공하여 금년에는 무늬가 좋은 개체로 변신 한 모습이다. 처음 동정을 초본으로 하여 등재기호가 aks G 139 로 잘 못 되었는데 어쩔수 없이 그대로 쓰고 있다. 사진은 2023년 6월 16일의 모습이다. 야생화/나의 야생화 2023.06.25
호반무늬 싸리 aks T 140 2022년 5월 22일, 공주시 반포면 봉곡리 야산에서 당년생으로 보이는 서호반 유묘를 얻었는데, 발견 당시에는 너무 어려 땅비싸리로 기록하였는데, 2023년 새 순이 발생하는것을 보니, 지난해의 줄기 지면 부근이 아니로 가지의 정단부에서 잎이 전개되며, 잎 수도 3출엽이어서 싸리 로 재 동정을 한 아이이다. 금년에 몇번의 순집기를 한 결과 현재로써는 만족 할 만 한 무늬를 보여주고 있다. 다음은 2023년 6월 16일의 모습이다. 야생화/나의 야생화 2023.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