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9 15

겨울에 만난 버섯 2024 - 05 짧은털접시버섯

이 버섯은 2023년 12월 13일에 관찰이 되었던 모습이다. 참고로 접시버섯은 2024년 1월 2일에 금년 겨울로는 마지막으로 관찰이 되었는데, 2일의 모습은 버섯이 많이 노균화 하여 거의 소멸 직전의 모습으로, 붉은색은 많이 퇴색되고 오히려 흰색이 타나나기 시작 하였다. 접시버섯은 겨울철이 되어 날씨가 추워지면 완전히 흰색으로 변한 것도 종종 관찰이 되었다.

미 동정 목이 20240119-22, 20240226-02

학명 : 분류 : 담자균문  관찰 일시 : 2024년 1월 19일 및 2024년 2월 26일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도마동 도솔산 자생 환경 : 시내에 있는 야산, 남향의 밝은 작은 계곡관찰 사항 : 낙엽 사이에 죽어 누워있던 참나무에 다수의 버섯들이 발생하고 있었다.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도 동정을 보류하였는데, 흰목이강의 방울흰목이와 붉은목이강의 분홍빛붉은목이가 비슷하게 보이기는 하나 어딘가 모르게 다른 버섯으로 보인다.이 버섯을 처음 본 것이 2024년 1월 19일 이었고, 다시 그 장소를 찾은것이 동년 2월 26일 이었는데, 2월 26일에 보았던 모습은 약 1개월 전과 거의 흡사한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으나 다시 동년 3월 15일에 찾았을때는 흔적도 없이 사라져버려 볼 수가 없는것을 보아서 ..

미 동정 버섯 20240228 - 01

학명 : 분류 :  관찰 일시 : 2024년 2월 28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도마동 도솔산 자생 환경 : 시내에 있는 야산, 동향의 경사가 거의 없는 그늘이 있는 혼합림 이래관찰 사항 : 그늘이 많은 혼합림 아래에 죽어 부패가 많이 진행 된 소나무 그루터기의 껍질부에 폭 넓게 발생하고 있었다.이 버섯은 버섯카페에서도 동정을 보류하였는데, 담자균문 녹균강 날개무늬병균목 날개무의병균과 날개무늬병균속의 '자주빛날개무늬병균' 을 생각하게 한다.다만 자주빛날개무늬병균 에서는 관공의 구조가 나타나지 않는데, 이 균은 커다랗고 깊이가 얕은 관공 형태가 나타나고 있어 차이를 보이는 것 같다.자주빛날개무의병균이 아니라며는 속이나 과 까지는 같을것으로 추측이 된다.빠른 연구가 이루어 져 바른 이름을 달 수 있기를 ..

은사시상황버섯(소통명) Sanghuangporus vaninii

학명 : Sanghuangporus vaninii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소나무비늘버섯목 소나무비늘버섯과 Sanghuangporus 속 관찰 일시 : 2024년 2월 24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도마동 도솔산 자생 환경 : 시내에 있는 야산, 남향의 계곡부에 죽어있던 은사시나무  관찰 사항 : 습기가 있고 그늘이 조금 있는 곳에 죽어 누워있던 은사시나무의 껍질부, 목질부에 다수가 발생하고 있었다. 다음은 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에서 옮겨 온 것이다.자실체는 반 배착생으로 좌우 지름이 5~15 cm, 앞 뒤의 폭 3~6 cm 정도로, 반원모양, 부채모양, 때로는 말굽모양을 한다.자실체의 표면은 황갈색에서 갈색으로 변해가고, 요철이 있으며 특히 생장하는 부분이 둥글게 융기되고 생장할 때는..

너도송편버섯 (갈색살송편버섯) Trametopsis cervina

학명 : Trametopsis cervina (Schwein.) Tomsovsky분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너도송편버섯속 관찰 일시 : 2024년 1월 5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도마동 도솔산 자생 환경 : 시내에 있는 야산, 물이 흐르는 도랑변에 버려진 천 포대 위  관찰 사항 : 습기가 많고 그늘이 많은 곳에 버려진 천으로 된 포대 위에 발생하고 있었다. 다음은 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에서 옮겨 온 것이다.자실체는 반 배착생으로 지면쪽으로는 넓게 부착하고 가장자리에는 갓이 형성된다.갓은 너비 3~5cm, 앞뒤 폭 1~3 cm 정도로 반원모양 내지는 부채모양 이다. 갓의 표면은 어릴때는 흰색에서 황갈색으로 변해가고, 약간 질긴 섬유상의 털로 덮여있으며,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