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산초나무1103 (자생무늬종) - aks T 25 11. 산초나무 11-3 2011년 10월 3일 자생지의 모습 - 산초나무의 무늬로서는 특이한 서성 녹산반으로 잎모양도 꾸부리가 나타난다. 2012년 6월 12일의 모습 : 전년과 같이 처음에는 무지로 올라오다 산반무늬가 점차로 많아진다. 2012년 7월 10일의 모습 야생화/나의 야생화 2012.01.26
10. 산초나무1102 (자생무늬종) - aks T 24 10. 산초나무 11-2 2011년 10월 3일 자생지의 모습 - 서성 녹산반의 형태로 무늬가 특이하다. 산초나무 11-3 과 불과 10여미터 정도 떨어진곳에 있었기 때문에 무늬로 본다. 야생화/나의 야생화 2012.01.26
9. 산초나무1101 (자생무늬종) - aks T 22 참고 : 산초나무는 봄의 경지접목과 여름의 녹지삽목이 잘 되며, 가을 종자를 채종한 즉시 파종하여 두면 다음 해에 발아도 잘 된다. 2011년 9월 28일 자생지의 모습 2011년 9월 29일 분식한 모습 야생화/나의 야생화 2012.01.26
8. 계뇨등1101 (자생무늬종) - aks T 19 참고 : 계뇨등은 여름 녹지삽목이 아주 잘 된다. 2011년 9월 17일 자생지의 모습. 2011년 9월 18일 상부 순 일부만 절취하여 분식한 모습 2011년 10월 15일 분에서 왕성하게 성장하고 있는 모습 2012년 3월 31일 모습 : 잎이 좀 성장하면서 무늬가 나타나기 시작 함. 2012년 7월 9일의 모습 야생화/나의 야생화 2012.01.26
7. 닥나무1104 (자생무늬종) - aks T 23 7. 닥나무 11-4 2011년 9월 28일 자생지에서의 모습 - 키 10센티 정도의 어린 묘목이었음. 2011년 9월 29일 분식한 모습 2012년 5월 1일의 사진 야생화/나의 야생화 2012.01.26
6. 닥나무1103 (자생무늬종) - aks T 21 6. 닥나무 11-3 2011년 9월 25일 자생지의 모습 9월 29일 분식후의 모습 2012년 6월 4일의 모습 야생화/나의 야생화 2012.01.26
5. 닥나무1102 (자생무늬종) - aks T 18 5. 닥나무 11-2 2011년 9월 17일 자생지에서의 모습 - 상순 부분이 잘리고 무늬의 새싹이 나오고 있음. 9월 18일 분식한 후의 모습 2011년 9월 29일의 모습 2012년 6월 4 일의 사진 : 무늬가 잘 나와주고 있음 2012년 7월 10일의 모습 2012년 7월 14일 7개의 삽수를 삽목하여 9월 14일 3개의 유묘를 얻어 포.. 야생화/나의 야생화 2012.01.26
4. 닥나무1101 (자생무늬종) - aks T 17 참고 : 닥나무는 여름 녹지삽목이 된다. 그러나 무늬의 발현이 매우 불규칙하여 주의를 요한다. 자생지에서 2014년 4월 24일 개화한 모습을 보고 닥나무로 교정 동정 함. 2011년 9월 17일 자생지에서의 모습 - 자생지의 무늬가 너무 화려함 2012년 3월 일 2012년 6월 4일의 사진 2012년 7월 10일의 모.. 야생화/나의 야생화 2012.01.26
3. 양지꽃1101 (자생무늬) - aks G 106 3. 양지꽃 (자생무늬종) 2011년 9월 25일 자생지에서의 모습 2011년 8월 26일 분식한 모습 - 잎줄기에도 줄의 무늬가 선명하다. 2011년 12월 14일의 모습 - 이제서 안착이 된듯, 잠을 자지 않고 계속 생장 중. 2012년 6월 12일의 사진 2013 년 5월 10일 : 무지와 유령으로 분리되어 관상가치가 없어 퇴출 .. 야생화/나의 야생화 2012.01.26
2. 맑은대쑥0901 (자생무늬) - aks G 102 2. 맑은대쑥 09년 5월경 반포에서 채집. 배양 중. 현재는 발견당시보다 무늬가 더욱 화려해 짐. 2011년 8월 8일의 모습. 2011년 10월 27일의 모습 2011년 11월 28일 자생지에서의 어미주 모습 2012년 3월 22, 24일 : 화단에서 화분으로 옮긴 후 의 모습. 2013년 신아 ( 1월 31일, 2월 22일 ) 야생화/나의 야생화 2012.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