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 명 : Collybiopsis peroneutypa
분 류 :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솔밭버섯과 Collybiopsis 속
관찰 일시 : 2025년 6월 22일
관찰 장소 : 대전시 서구 도마동
자생 환경 : 시내에 있는 보통 크기의 산, 동향의 도랑
관찰 사항 : 동향으로 난 물이 조금 흐르는 도랑변 도랑물이 튀어 물에 흠뻑 젖은 낙엽 사이에 2 덩이 5 송이가 발생하고 있었다. 버섯의 크기는 갓의 지름이 약 1cm 정도로 보였다. 동정은 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 에서 하였다.
다음의 내용은 Wikipedia에서 옮겨 온 것이다.
모자는 약 2cm에서 6cm까지 자라며 황갈색 또는 적갈색이며 중앙에는 작은 umbo가 있습니다.
반지나 다른 베일의 잔해는 없다. 줄기는 모자와 거의 같은 색이며(나이가 들면서 어두워짐) 길이는 약 8cm, 지름은 0.5cm입니다. 일반적으로 위에는 pruinose ( '젖이 덥은')가 있고 기부 근처에는 strigose (털이 많은)가 있으며, 이는 더 크고 담황색 균사체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간격이 잘 잡힌 아가미는 캡과 착색되거나 다소 가볍습니다.
손상되지 않은 버섯은 냄새가 거의 없지만 멍이 들면 식초 향이 납니다. 맛은 부드럽고, 매운 맛이나 후추 향이 납니다.
미시적 특성
길쭉한 쉼표 모양의 포자는 약 8μm x 4μm입니다.
불규칙한 coralloid cheilocystidia가 있습니다.
분포 서식지 및 생태
이 부록성 버섯은 일반적으로 낙엽수 또는 침엽수림의 잎이나 바늘에 더 작거나 큰 덩어리로 자라며 5월에서 12월 사이에 발견될 수 있습니다.
유럽 전역에서 흔하며 미국과 일본의 일부 사이트에서도 보고되었습니다.
확장성
이 버섯은 주로 후추 맛이나 매운 맛 때문에 일반적으로 먹을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되며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한 스페인 웹사이트에 의하면, 그것은 말리고, 갈아서 조미료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1948년에 발표된 한 논문에 따르면, 이 종은 검출 가능한 양으로 시안화수소(HCN)를 생성하는데, 이는 이 물질이 독성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그러나 같은 논문은 Infundibulicybe geotropa와 같이 일반적으로 식용으로 간주되는 다른 버섯을 동일한 특성을 가진 것으로 나열하기 때문에 이 관찰에 얼마나 많은 의미를 부여해야 하는지 알기 어렵습니다.
'버섯 > 현풍이 만난 버섯'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 동정 난버섯속 의 버섯 20250623 - 08 (2) | 2025.06.29 |
---|---|
미 동정 버섯 20250623 - 05 (2) | 2025.06.29 |
호박젖버섯 Lactarius cucurbitoides 20250622 - 10 (0) | 2025.06.29 |
다발큰애기버섯 (가칭) Collybiopsis luxurians (0) | 2025.06.24 |
뿔목이 Auricularia cornea (2) | 2025.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