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이란 ?
최근 들어 생물학자들은 생물권을 크게 5계로 구분한다.
핵막이 없어 핵산이 세포질에 분산되어있는 박테리아로 잘 알려진 원핵생물과, 원생동물 하등조류 점균 물곰팡이류를 묶은 원생생물과, 접합균류 담자균류 자낭균류로 되어있는 균계와, 식물계, 그리고 동물계가 그것이다.
버섯이라면 균계 에서 접합균류를 제외한 자낭균류와 담자균류를 말한다.
자낭균류는 자낭이라는 곳에서 자낭포자를 만들고, 담자균류는 담자기라는 곳에서 담자포자를 만들어 번식한다. 또 담자균류는 담자기의 특징에 따라 이담자균류와 동담자균류로 나눈다. 이담자균류로서는 목이류가 있으며, 나머지 대부분은 동담자균류가 된다.
버섯류의 본체는 영양기관인 균사체인데 이 균사체가 성장을 하다가 적당한 환경이 되면 유성생식포자를 만들기 위한 자실체라는 특수기관을 만들게 된다. 우리는 이 자실체를 버섯이라 부르는데, 한번 버섯을 발생한 후에는 서식지의 환경 변화가 심하게 일어나지 않는 한 수십, 수백 년에 걸쳐 해마다 버섯을 발생시킨다.
버섯은 영양 방법에 따라 부생균, 기생균, 균근균으로 구분한다.
죽은 동식물의 사체를 영양으로 하여 생활하는 버섯이 부생균인데, 대부분의 버섯은 이 부생균이다.
기생균은 살아있는 생물로부터 영양을 흡수하는데, 대부분은 기생식물에 심한 손상을 입힌다.
균근균은 고등식물의 뿌리와 균사가 결합하여 균근을 형성한다. 균근을 이룬 버섯은 서로 이익이 되는 물질을 교환하며 공생한다.
식용버섯, 약용버섯, 독버섯 등으로 불리는 것은 사람들과의 관계에 따라 편리하게 쓰는 인위분류이다.
한국의 버섯은 2010년까지 기록된 것이 약 1700 여 종이며, 그중 식용할 수 있는 버섯은 350여종, 독버섯은 100 여 종으로 추정된다.
또한 버섯은 생태계의 평형을 유지시켜 주는 환원자로 써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도 하며, 식용, 약용으로서의 가치도 크다.
재배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호식품과 의약품의 중요한 천연자원이 된다.
### 위의 그림자료는 '아름다운버섯나라' http://www.mushroom114.or.kr/gossip/g01-beoseop.htm
에서 복사한 것입니다.
'버섯 > 버섯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별 발생 야생버섯 4 (0) | 2013.01.19 |
---|---|
월별 발생 야생버섯 3 (0) | 2013.01.19 |
월별 발생 야생버섯 2 (0) | 2013.01.19 |
월별 발생 야생버섯 1 (0) | 2013.01.19 |
버섯 분류 표 (0) | 2012.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