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의 자료는 '한국버섯' : http://www.koreamushroom.kr/bbs/board.php?bo_table=mr_terms&wr_id=11
에서 담아온 글 입니다.
버섯전문용어 해설(Technical terms related to mushrooms)
갈색부후(褐色腐朽, brown rot): 목질 분해균(버섯 등)이 목질 내의 셀룰로오스(섬유소)를 주로 분해하여 리그닌이 주로 남게 됨으로서 목질이 갈색을 띠게 되는 것.
갓(菌帽, 菌傘, pileus, cap): 주름버섯류나 그물버섯류(또는 민주름버섯류의 bracketlike형 포함)의 머리 윗면. 균모, 균산 등으로도 쓰였으나 일반인이 알기 어려운 한자식 용어이어서 일반적으로 쓰고 있는 갓으로 썼다.
깜부기균아문(신칭, Ustilaginomycotina): 담자균문이 일반담자균아문(신칭), 녹균아문(신칭) 및 깜부기균아문(신칭) 일반담자균 등 3개의 아문으로 분리되었다. 깜부기아문에는 옥수수깜부기균, 진달래떡병균 등이 이에 속한다.
격막(膈膜, septum): 균사와 균사 사이에 서로 격리시키는 가로막이나 포자 내부에 칸을 형성하는 가로막. 균사나 포자 중에는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다.
고리(菌环, ring): 갓과 대가 생장하면서 대에 내피막의 일부가 남아서 고리를 형성한 것. 광대버섯류에서는 턱받이라고도 한다.
꼭지(頂點, apex): 대나 포자 등의 선단 부분.
관공(管孔, tube): 자실층이 주름살 대신 관 모양의 구멍으로 되어 있는 것. 관공의 표면에 나타난 부분은 구멍(pores)으로 구분하였다.
구근상(球根狀, bulbous): 대의 밑동이 팽대되어 구근(球根) 또는 덩이뿌리 모양을 이룬 것. 괴근상(塊根狀)이라고도 한다.
균계(菌界, Fungi): 균계란 진균(眞菌, 眞核菌: Eukaryota; true fungi)에 속한 것을 총칭한 것이다. 담자균문(Basidiomycota), 자낭균문 (Ascomycota), 호상균문(Chytridiomycota), 접 합균문(Zygomycota) 등 6개의 문이 있다. 7개 의 문으로 표시할 경우는 소속불명이 포함된 것이다.
균근(菌根, mycorrhiza): 기주식물인 나무뿌리와 버섯의 균사가 함께 공생하면서 균사와 결합된 나무뿌리가 형성 되는 것. 송이 등 많은 버섯이 균근을 이룬다. 균근에는 내생균근(endomycorrhiza), 외생균근(ectomycorrhiza) 및 내외생균근(ecto-endomycorrhiza) 3가지가 있다.
균사(菌絲, hypha): 균류의 영양 생장기관으로 실 모양을 이루면서 조직을 만드는 것. 단위세포나 균사세포가 이룬 조직을 함께 쓴다.
균사구조(Hyphal system): 1균사형, 2균사형, 3균사형의 3가지 균사형이 있다. 1균사형은 일반균사(generative hyphae)로 이루어 진 것이고, 2균사형은 일반균사(generative hyphae)와 결합균사(Binding hyphae)가 결합된 것이거나 또는 일반균사와 골격균사(sjeketal hyphae)가 결합된 것, 3균사형은 일반균사, 결합균사 및 골격균사 모두 결합된 것을 말함.
균사속(菌絲束: rhizomorph): 균사가 모여서 끈 모양으로 길게 뻗어 나간 것. 특히 뽕나무버섯의 경우 버섯 밑동에 긴 균사속이 있다.
균사체(菌絲體: mycelium): 균사들이 모여서 나타난 덩어리. 균사가 기관으로 변화되지 못하고 미분화 상태일 때의 것. 종균(spawn), 흔히 버섯 밑동에 백색 또는 다른 색깔을 가진 균사체가 나타나기도 한다.
균핵(菌核, sclerotium): 균사가 엉켜서 핵 모양을 이룬 것. 애기볏짚버섯, 저령 등에서 버섯의 밑동 아래에 균핵이 형성되기도 한다.
균환(菌環, fairy ring): 송이버섯 등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버섯이 둥글게 원형으로 발생하거나 또는 줄 모양으로 발생하는 것. 이것은 버섯 균사가 바깥 쪽으로 퍼지면서 그 가장자리 끝에서 많은 버섯이 나기 때문에 큰 고리 모양으로 보인다. 균륜(菌輪)이라고도 하였는데 일본식 용어이어서 균환으로 바뀐 것이다.
그물눈 모양(網目狀, recticulate): 버섯의 갓이나 대 또는 포자의 표면에 그물 눈 모양을 이룬 형태. 망목상이라고도 쓴다.
기물에 직접 부착(sessile, broadly attached): 버섯의 자실체가 대가 없이 기물에 직접 부착한 것.
기본종: 어떤 종의 기준이 되는 종. 아종, 변종, 형태종 등의 기준이 되는 종을 기본종이라고 한다. 최근에는 아종, 변종, 형태종 들이 대부분 기본종에 통합된 학명을 쓰고 있으며, 전혀 형질이 다른 버섯은 다른 종으로 구분하는 추세에 있다.
기본체(基本體, gelba): 말불버섯 등 복균류의 자실체 내부에 포자를 형성하는 기본 조직.
기주(寄主, host): 버섯이 발생하기 위한 영양을 얻는 물 질 중에서 식물이나 동물에 기생할 경우 이를 기주라고 한다. 기주에는 생물기생성과 사물기생성의 2가지가 있다.
기준종(Type species): nomen species라고도 함. 어떤 속에서 그 속의 요건이나 설명할 내용을 충족시키는 종으로 그 속의 기준이 되는 종. 기준종에 대한 설명은 과거 F.E. Clements, C.L. Shear &E.S. Dlements(1964)의 Genera of Fungi나 Singer(1986)의 The Agaricales in Modern Taxonoy 등에서 등에서 기록된 바 있다.
기질(基質, sbustrate): 버섯이 자라거나 또는 붙어 있는 물질. 예를 들어서 말굽버섯의 기질은 활엽수 목질이며, 송이버섯의 기질은 토양과 소나무뿌리이고, 큰갓버섯의 기질은 토양이다.
날낭상체(褶緣囊狀體, Cheilocystidia): 주름살의 끝(날) 부분에 있는 낭상체
낭상체(囊狀體, Cystidia): 강모체(剛毛體)라고도 하나 흔히 주머니 모양이므로 낭상체로 하였다.
(1) 자실층에 담자기가 아닌 것으로 담자기 옆에 생기는 세포. 자루모양, 곤봉형, 방추형, 플라스크형, 원주형, 실 모양 등 다양한 형태로 생기며 불염성이다. 이것은 hymenial-cystidia라고도 한다. 버섯의 주름살 날(끝 부분)에 있는 것은 낭상체(褶緣囊狀體, cheilocystidia), 주름살의 측면에 있는 것은 측생낭상체(側生囊狀體, Pleurocystidia) 라고 한다.
(2) 자실층뿐 아니라 균사층(기질층)에도 낭상체가 생기며, 이것은 tramal-cytidia라고 한다.
(3) 갓의 표면에 생기는 것은 pileo-cystidia라고 한다.
(4) 대에 생기는 것은 caulo-cystidia라고 한다.
(5) 이 외에도 막이 얇고 불규칙한 낭상체로 내부에 투명하거나, 다른 색이거나, 반사물질이 들어 있는 것을 자루낭상체(신칭, Gloeocystidia) 등 많은 낭상체에 대한 형태적 구분이 있으나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으로서는 현미경에 의한 비교 검색이 매우 어려우므로 이를 생략한다.
녹균아문(Pucciniomycotina): 담자균문(Basidiomycota)이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녹균아문(Pucciniomycotina) 및
깜부기균아문(Ustilaginomycotina) 등 3개의 아문으로 분리되었다. 녹균아문에는 날개무늬병균, 고약병균 등이 포함되어 있다.
다공균(多孔菌, polypore): 버섯이 딱딱한 각질의 갓을 가지고 있으면서 하면의 관공상인 것 또는 갓이 없더라도 관공상인 것을 일반 명칭으로 다공균이라고 한다. 전의 민주름버섯목을 일반 명칭으로 다공균이라고 하였는데 편의상 명칭이며, 현재는 비학술용어임.
담자기(擔子器, basidium, basidia): 담자균에서 포자가 형성되는 곤봉 모양의 미세 구조.
담자기과(擔子器果, basidiocarp): 담자균문 버섯의 자실체. 자낭균문이나 깜부기균문 또는 녹균문의 자실체와 구분하여 담자균문의 버섯(자실체)를 말한다. 자낭균문 버섯의 자실체는 자낭과(子囊果: ascocarp)로 구분 표기한다.
담자균문(basidiomycota): 균계(菌界, Fungi)를 6개의 문(소속불명 포함 7개)으로 분류하는 데 그 중 1개의 문으로 이 문은 포자를 담자기에서 생산하는 특징이 있다. 전 세계적으로 3아문, 16강, 52목, 177과, 1,589속, 31,515종이 알려져 있다. 이 문에는 담자균아문, 녹균아문, 깜부기균아문의 3개 아문이 있다.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녹균아문이나 깜부기균아문의 경우 담자기의 밑동에 두꺼운 막질 형태 또는 막질에 털이 난 형태의 probasidium이 형성되지만 담자균아문에서는 이것이 없이 담자기가 형성된다.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붉은목이강(Dacrymycetes), 흰목이강(Tremellomycetes) 3개의 강으로 나눈다.
담자포자(擔子胞子, basidiospore): 담자균류의 포자. 담자기 내부에서 감수분열이 일어난 후 담자기의 위 끝 부분에 담자뿔(小柄 또는 柄子)이 생기고 이 담자뿔의 끝에 포자가 매달린다.
대(柄, 梗, stipe): 버섯의 줄기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갓이나 머리 부분을 지탱해 주는 부분. 자루 또는 줄기라고도 한다. “버섯의 자루” 보다 “버섯의 대”라는 말이 더 간편하고 일반적 용어이어서 대로 썼다.
대에 내리붙음(垂生, decurent, arching): 주름살이 대 부분의 아래쪽까지 길게 내리붙은 형태. 내린주름살 또는 내린형이라고도 한다.
대에 떨어진 붙음(離生, free): 주름살이 대와 붙지 않고 떨어진 형태. 떨어진주름살 또는 떨어진형이라고도 한다.
대에 띠붙음(直生, adnated): 주름살이 대 부분에서 띠 모양 두껍게 붙은 형. 바른주름살 또는 완전붙은형 이라고도 한다.
대에 치붙음(上生, adnexed): 주름살이 대 부분에서 치켜 붙으며, 극히 좁아져서 끝 부분만 붙는 상태. 올린주름살 또는 끝붙은형 이라고도 한다. 때로는 대에 치붙음이면서 띠붙음인 경우도 있다.
대에 홈붙음(灣生, sinuate): 주름살이 대와 붙는 부분 가까이에서 홈처럼 오목 들어간 형태. 홈파진주름살 또는 홈형이라고도 한다.
동충하초(冬蟲夏草, cordyceps): 주로 곤충에 기생하는 자낭균 버섯. 일부는 종자 등에서도 난다. 겨울에는 벌레이다가 여름에는 버섯(풀)으로 변한다는 데서 붙여진 이름.
둥근산형(饅頭形, 丸山形, convex): 갓의 표면 모양이 둥근산처럼 볼록한 모양. 호빵형, 평반구형, 반반구형이라고도 한다.
머리(頭部, head, fertile part): 동충하초의 자실체 중에서 자낭각이 분포하는 상부의 팽대해 있는 부분이나 자낭균류 중에서 대의 위쪽에 자실층을 가지고 있는 팽대해 있는 부분.
멜쩌 시약(Melzer's reagent): 버섯의 포자, 낭상체, 균사 및 조직을 염색하여 발색 현상(呈色反應)의 차이 를 비교하는 시약. 오오드 0.5g, 요오드화 칼륨 1.5g, 증류수 20ml, 클로랄 하이드레이트 20ml를 혼합하여 제조.
무성기부(無性基部, sterile base): 말불버섯, 말징버섯 등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포자가 형성되는 기본체 상부와 달리 포자가 형성되지 않는 기본체의 하부 쪽.
무성생식(無性生殖, asexual reproduction): 세포 내 핵융합과 감수분열이 수반되지 않는 생식.
밑동(基部, base): 대의 아래 끝 부분. 기부(基部)라고도 하나 어려운 말 대신 밑동이라고 하였다.
반배착생(半背着生, semipilate): 자실체가 기질 표면에 배착생으로 퍼지다가 가장자리의 일부가 반전되어서 갓이 형성되는 것.
배착생(背着生, resupinate): 자실체에 갓이 형성되지 않고 기질에 완전히 들러붙어 있는 것.
백색부후(白色腐朽, white rot): 버섯 균이 목질의 리그닌을 주로 분해하여 갈색을 띠는 리그닌이 감소되고 백색을 띠는 셀룰로오스(섬유소)가 주로 남는 부후.
변형균문(變形菌門, Myxomycota): 일반적으로 점균류 (slime mold)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점균류는 포자가 편모를 가진 운동성의 유주자(swarm cell)가 되고 이것이 한 쌍씩 접합하여 변형체(plasmodium)을 이루는데, 흔히 밝은 색의 공 모양, 열매 모양, 고약 모양, 끈 모양, 관 모양 등 다양한 형태를 이루기도 하고, 대를 가진 것도 있다. 버섯과 비슷한 형태를 가진 것도 있으나, 균계(Fungi)에 속하지 않으므로 버섯에 포함하지 않고 별도로 분류한다. 일부 학자들은 이 변형균문의 이름을 “--먼지”라고 부르기도 한다.
부착물(附屬物, appendiculate): 갓의 가장자리에 외피막 잔존물이 달라붙어서 늘어져 있는 것.
분생자(分生子, conidium): 분생자병에서 출아, 분열 등에 의해서 무성적으로 생긴 포자. 이 포자는 발아하여 새로운 균사로 발육된다.
분생자병(分生子柄, conidiophore): 분생자를 붙이는 균사로 대 모양 길게 뻗어 있거나 분지되기도 하며 그 선단 또는 측면에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비아밀로이드(nonamyloid): 버섯의 포자, 균사 등이 멜쩌 시약에 의한 정색반응에서 요오드에 의한 청색∼흑청색 반응이 나타나지 않고 무색∼담황색으로 나타나는 것. 비전분반응이라고도 한다.
사물기생(死物寄生, saprophyte): 버섯이 죽은 식물체(목질, 초류, 낙엽 등)이나 죽은 동물체 또는 분뇨 등에 발생하여 영양을 섭취하는 것.
3균사형(trimitic): 균사구조(Hyphal system)의 한가지로서 일반균사, 결합균사 및 골격균사 3가지 종류의 균사가 함께 구성된 균사.
서식지(棲息地: habitat): 어떤 버섯이 서식하는 장소를 말한다. 난대, 온대, 고산, 임지 토양, 활엽수 임지, 침엽수 임지, 혼효림 임지, 초지, 목장, 낙엽 위, 살아 있는 수목, 죽은 나무나 풀, 분뇨, 곤충의 몸체, 죽은 버섯 등 매우 다양하다.
섬유상(纖維狀, fibrillose): (1) 갓이나 대의 표면에 미세한 섬유나 미세한 긴 털이 섬유 모양으로 비교적 고르게 배열된 것. (2) 또는 섬유 모양의 무늬가 있는 것. 이 용어는 쓰는 사람에 따라서 다소 다른 뜻으로 쓰이는 경향이 있다.
소경(小梗, sterigma): 담자기의 선단에 포자와 연결되는 작은 막대 또는 침 모양의 돌기. 경자(梗子), 담자뿔이라고도 한다. 최근에는 담자뿔이란 우리나라말 용어를 주로 쓰고 있다.
소병포자(小柄胞子, phialoconidia): 분생자병(分生子柄)에서 분지된 작은 자루(小柄)에서 생성된 포자
소피자(小皮子, peridiole): 찻잔 버섯류의 컵 모양 자실체 속에 생기는 바둑돌 모양의 기관으로 포자가 들어있다.
습윤성(濕潤性, hygrophanous): 갓에 습기를 많이 포함하고 있으며, 건조할 때는 갓의 색깔이 변화되는 것. 흡습성(吸濕性) 또는 흡수성(吸水性)이라고도 용어가 혼동되고 있으므로 흡습성(吸濕性)으로 통일된 용어를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층(實質層, trama), 자실층 하부의 균사 층. 예를 들어서 주름살이나 관공의 밑에는 자실하층(子實下層, subhymenium)이라는 얇은 층을 구분하기도 하고 그 밑의 버섯의 살(fresh)층을 실질층으로 구분한다. 기질층(基質層)이란 용어보다 실질층이 맞는 것으로 보임.
아밀로이드(amyloid): 버섯의 포자, 균사 등이 멜쩌 시약에 포함된 요오드에 의해서 청색 또는 남색으로 변하는 정색 반응. 전분반응이라고도 한다.
연결꺽쇠(clamp connection): 담자균의 균사와 균사 사이 격막 한쪽에 꺽쇠 모양으로 서로 연결된 부위. 균사 중에는 연결꺽쇠가 있는 것도 있고 또 없는 것도 있어서 분류상 주요한 열쇠가 된다. 부리상 돌기란 용어를 쓰기도 한다.
오목한 형(凹形, concave): 갓의 표면 모양이 오목하게 들어간 형. 오목해진다 또는 오목편평형이라고도 한다.
위(僞)아밀로이드(pseudoamyloid): 버섯의 포자, 균사 등이 멜쩌 시약에 의해서 갈색∼적갈색으로 변하는 정색 반응. 위전분반응(僞澱粉反應)이라고도 함.
유사낭상체(leptocystidia): 균사의 선단이 길어지거나 팽대되어서 낭상체와 유사한 형태로 보이는 것.
유성생식(有性生殖, sexual reproduction): 배우자 간의 접합에 의해서 생식하는 것. 핵융합과 감수분열이 일어 난다.
2균사형(2菌絲形, dimitic): 일반균사와 골격균사 또는 일반균사와 결합균사 2종류로 구성된 균사.
1균사형(1菌絲形, monomitic): 일반균사 1가지 종류로만 구성된 균사.
이형체균사(異形體菌絲, hyphidium, hyphidia): 균사의 형태가 별모양, 망태모양, 자루모양, 사슴뿔모양, 뿔모양, 옥수수모양 등 각종 특이한 모양을 가진 것.
자낭(子囊, ascus, asci): 자낭균류의 유성생식에 의해서 자낭포자를 형성하는 기관으로 긴 자루 모양이며, 그 안에 흔히 8개의 자낭포자가 들어 있다.
자낭균문(신칭, Ascomycota): 이 문의 특징은 자낭(子囊; ascus)의 형성과 자낭포자(ascospore)의 형성이다. 자낭은 자실체의 전체 또는 일부가 자낭과(子囊果; ascocarp)라고 하는 조직을 만들고 여기에서 형성된다.
자낭과(子囊果, ascocarp): 자낭을 형성하는 조직을 일괄해서 자낭과라고 말한다. 넓은 뜻으로 자낭균류의 자실체를 지칭하기도 한다. 자낭과에는 자낭각(폐자낭각 포함), 자낭반, 자좌 등이 포함된다.
자낭반(子囊盤, apothecium, apothecia): 자낭균류의 자실체 중에서 주발버섯이나 접시버섯 등과 같이 컵 모양, 접시 모양, 안장모양, 주걱모양, 곤봉상 등을 형성하면서 그 표면에 자실층을 형성한 것. 대가 있는 것도 있고 대가 없는 것도 있다.
자실체(子實體; fruit body): 버섯. 버섯균의 영양균사가 생장한 후 분화되어 생식기관인 버섯을 형성한 것. 자실체는 나무의 열매에 해당한다.
자실층(子實層, hymenium): 포자가 형성되는 담자기나 자낭이 있는 최상층을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버섯의 주름살, 관공, 침상 돌기, 자낭반 표면 등에 형성되는 곳을 말한다. 자실층탁(子實層托)이라고도 한다.
자실하층(子實下層, subhymenium): 자실층의 바로 아래에 있는 조직, 자실층을 만드는 얇은 조직. 그 밑에는 실질층(實質層, Trama)가 있다.
자좌(子座, stoma, stomata): 참나무쇠요버섯, 검은팥버섯 또는 동충하초 등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많은 자낭각을 포용하고 있는 조직. 자낭각 버섯류의 자실체 덩어리를 자좌라고 한다.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일반담자균아문 중에서 붉은목이강과 흰목이강을 제외한 일반적인 버섯들이 모두 포함된다. 예전에 주름버섯목, 민주름버섯목 및 복균강이 일반담자균강으로 포함되었다.
주름살(菌褶, gill, lamella): 주름버섯류 등에서 갓의 하면에 부채살 모양으로 주름이 잡힌 부분. 이 부분에 자실층이 형성된다.
줄무늬(條線, striate): 갓의 가장자리 또는 대에 있는 평행선의 무늬. 조선(條線)이라고도 한다.
측생낭상체(側生囊狀體, pleurocystidia): 주름살의 옆면에 나타나는 낭상체, 끝의 날 부분에 나타나는 낭상체는 날낭상체(褶緣囊狀體)라고 한다.
편평형(扁平形平, bracket-like): 원숭이불로초(원숭이안장버섯) 등과 같이 넓적하고 평형한 모양.
평활(平滑, glabrous): 갓의 표면에 털이나 비늘 섬유 같은 것이 없고 울퉁불퉁하지 않으며 고른 것. “매끄럽다”라고도 함.
폐자낭각(閉子囊殼; cleistothecium): 자낭각 중에서 포자분출공(ostole)이 없는 자낭각. 자낭과는 아구형으로 완전히 폐쇠되고 자낭포자를 내보낼 포자분출공이 없다.
포자문(胞子紋, spore print): 버섯의 갓을 잘라서 흰 종이나 검은 종이 위에 주름살이 아래쪽으로 가도록 얹어 놓으면 포자가 종이 위에 낙하되어 포자의 무늬를 이룬다. 낙하된 포자의 색깔은 버섯 분류에 주요한 자료가 된다.
포자부속물(胞子附屬物, ornament): 포자의 표면에 부착된 돌김불로서 점상, 선상, 능선상 또는 그물무양 등을 만드는 것. 툭히 무당버섯목 등에 많이 나타난다.
포자분출공(胞子噴出孔, ostiole): 자낭각(子囊殼)의 위쪽에 포자를 분출하는 구멍. 각공(殼孔), 공구(孔口), 유구(有口)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말불버섯류에서 상단에 포자를 분출하는 곳도 같은 용어를 쓴다. 줄여서 분출공이라고도 함.
테무늬(環紋, concentrically zoned): 갓의 표면에 동심원상으로 테 모양의 무늬가 나타나는 것. 환문이라고도 한다.
테모양 골(環溝. concentrically ridged): 갓의 표면에 동심원상으로 테 모양의 골이 파인 것. 환구라고도 한다.
활물기생(活物寄生, parasite): 버섯이 살아있는 식물체나 살아 있는 동물체에 기생하면서 영양을 섭취하는 것.
흡습성(吸濕性, hygrophanous): 버섯의 갓이 물기를 오래 유지하면서 진한 색을 나타내는 성질. 물기가 없어지면 연한 색이 된다. 습윤성(濕潤性) 또는 흡수성(吸水性)이라고도 한다. 흡습성으로 용어를 통일함이 좋을 것 같다.
'버섯 > 버섯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버섯(2) 광대, 밀고약, 국수버섯과 (0) | 2014.09.25 |
---|---|
한국 버섯 (1) 주름버섯과 AGARICACEAE (0) | 2014.09.25 |
우리나라의 버섯 재배 및 분류(Mushroom cultivation and classification in Korea) (0) | 2014.09.25 |
월별 발생 야생버섯 12 (0) | 2013.01.19 |
월별 발생 야생버섯 11 (0) | 2013.01.19 |